반응형

단말기 자급제는 2012년 5월에 시행된 제도로, 소비자가 휴대폰을 스스로 마련할 수 있게 보장한 제도입니다. 

제도 도입 전에는 이동통신사를 통해서 휴대폰을 구매하고 사용하던 게 일반적이었지만, 이런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이용자의 선택 폭 확대를 위해 도입된 것입니다.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식 - 온라인 쇼핑몰, 대형마트나 가전매장 등 다양한 유통채널에서 공기계를 구입한 후 원하는 통신사를 선택해 가입하는 방식인데, 제도 도입 후에도 기존 휴대폰 유통구조가 워낙 고정화되어 있었기에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추세는 2020년 이후부터 변화가 보이기 시작하면서 단말기 자급제를 활용하는 이용자가 늘어났습니다.

이전에는 스마트폰의 성능이 출시될 때마다 월등히 차이를 보여왔기에 통신사의 약정기간 할인 이 종료는 곧 휴대폰 교체라는 인식도 있었지만, 2020년 쯤에는 스마트폰의 성능이 상향 평준화 되었고, 구 모델이라도 사용에 불편함을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되어 약정기간 이후에도 사용하는 이용자가 늘었던 부분이 컸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단말기 자급제의 가장 큰 특징은

내 마음대로 단말기 선택하고, 내가 원하는 통신사를 선택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통신사 및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자급제 단말기로 기기만 변경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자급제폰 : 이동통신사의 서비스 가입을 조건으로 구매하는 단말기가 아닌, 전자제품 매장이나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공기계(개통되지 않은 휴대폰) 형태로 구매한 단말기

◇ 단말기 자급제의 장점

· 선물용으로 통신사 구분이 없었으면 하는 이용자
▷ 자급제폰은 통신사 구분이 없습니다.

· 사용하던 기존유심을 사용하고 싶은데, 개통 절차가 번거로운 이용자
▷ 자급제폰은 통신사 개통 이력 생성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최신 휴대폰으로 바꾸고 싶은데, 약정에 따른 위약금이 부담스러운 이용자
▷ 위약금 발생없이 출고가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 고가 요금제는 부담스러우나, 프리미엄 휴대폰을 사용하고 싶은 이용자
▷ MVNO(알뜰폰)의 저렴한 무약정 유심요금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 통신사가 선탑제한 전용 앱, 로고 등이 부담스러운 이용자
▷ 자급제폰은 특정 통신사의 앱(App)과 부팅 로고(Logo)가 없습니다.

· 공시지원금(휴대폰 가격 할인) 대신 요금할인 혜택을 받고 싶은 이용자
▷ 자급제폰은 공시지원금 대신 그에 상응하는 통신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출처)은 www.단말기자급제.한국(https://www.imei.kr/)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